Table of Contents
Nano Ardule MIDI Controller: 설계 요약 문서
- 작성자: 정해영
- 최초 작성일: 2025년 8월 5일
- 최종 수정일: — Haeyoung Jeong 2025/08/26 08:37
네임스페이스가 포함하는 하위 정보
목표
별도의 조절 장치를 갖고 있지 않은 GM sound module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Arduino Nano 기반의 MIDI Controller(Nano Ardule)를 제작한다. Ardule은 Arduino + Module의 합성어이며, 프랑스어로 ‘어려운’(arduous)이라는 뜻도 갖고 있다. 2개 프로그램의 layer/split이 가능하며, 음색 설정을 user program/combi 형태로 microSD 카드에 저장하고 로드할 수 있다. 또한 카드에 저장된 type 0 MIDI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GM 명령어를 공부하고 아두이노 활용의 익히기 위한 목적도 있다.
시스템 구성
- 주 제어부: Arduino Nano 호환 보드 (CH341 드라이버 필요)
- 출력 대상: SAM9703 도터보드 장착 사운드 모듈 (GM 사운드 모듈이라면 제한 없음)
- 저장장치: microSD 카드 (user program, combi, global settings, Type 0 MIDI 파일 저장)
- 디스플레이: 1602 I2C LCD (백라이트 포함, 파일럿 LED 불필요)
- 입력 장치:
- MIDI IN (외부 키보드 컨트롤러에서 입력)
- Rotary Encoder 1개 (푸시 버튼 내장)
- 기타 푸시버튼 6개:
- PART SELECT
- SPLIT
- LOAD (+)
- SAVE (-)
- PLAY/PAUSE
- STOP/EXIT
- 출력 장치:
- MIDI Activity LED 1개
- 활성화 파트 표시 LED 3개 (A, B, Drums)
- MIDI OUT (TX → DIN connector)
기본 작동법
- 키보드(CH1 출력) → Ardule의 MIDI IN 연결
- Ardule의 MIDI OUT → GM 사운드 모듈 연결
- 전원 On 시 PART A LED 점등. 기본 악기는 GM #0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
- 로터리 인코더를 돌려서 볼륨 조절
- 인코더 버튼을 누르면 'Program Change' 진입. 인코더를 돌려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 후 STOP/EXIT 버튼을 눌러 복귀.
- 변경값은 회전 멈춘 후 0.2초 뒤 전송됨 (LCD에 전송 완료 표시)
- LOAD 버튼 → 저장된 프로그램 로드. 인코더로 선택, STOP/EXIT으로 복귀
- PART A 또는 B만 선택된 상태에서 LOAD → UsrPrg## 목록에서만 선택 가능
- PART SELECT 순환: A → B → A+B → A (A+B 시 LED 동시 점등)
- PART SELECT 더블클릭: DRUMS 모드(CH10 출력). 한 번 더 누르면 이전 상태로 복귀
- PLAY/PAUSE + STOP/EXIT 동시 누름 → Transpose 설정 진입
프로그램 편집 및 저장
- PART A, B, DRUMS 중 하나만 선택된 상태에서 편집 가능
- 인코더 버튼 반복 누름 → 다음 파라미터 순환:
- Program Change
- Bank Select LSB (CC#32)
- Chorus (CC#93)
- Reverb (CC#91)
- Pan (CC#10)
- Cutoff Frequency (CC#74)
- Resonance (CC#71)
- 인코더 회전으로 값 변경, STOP/EXIT으로 복귀
- 볼륨은 편집 모드에서는 조정 대상 아님, 그러나 저장 시 함께 기록됨
- 편집 모드에서는 인코더, LOAD(+), SAVE(-), STOP/EXIT만 작동
- SAVE → UsrPrg00~99 저장. 인코더로 번호 선택, 덮어쓰기 시 확인 메시지 표시
- PART A와 B 설정 후 A+B 활성화 → UsrCmb00~99로 저장 가능
SPLIT 설정
- SPLIT 버튼 → 중앙 C 기준으로 A/B 영역 나눔
- 인코더 조작 순서:
- Split point 선택
- Lower octave 조절
- Upper octave 조절
- Lower volume
- Upper volume
- SAVE 버튼 → 현재 SPLIT 상태를 UsrCmb로 저장
- STOP/EXIT → 복귀
MIDI 파일 재생
- PLAY/PAUSE 버튼 → microSD 카드에서 Type 0 MIDI 파일 탐색
- 파일명: file00.mid ~ file99.mid (최대 100곡)
- 인코더로 곡 선택, PLAY/PAUSE로 재생 시작
- 재생 중 PLAY/PAUSE → 일시 정지/재개, STOP → 처음으로 되돌림
- 다음 곡 자동 재생 여부는 Global Settings에서 설정
- 재생 중 키보드 입력은 CH14 (PART A), CH15 (PART B), CH10 (DRUMS)로 리매핑
- STOP 후 다른 버튼 누르면 원래 상태로 복귀. 파트 설정은 복원됨
Global Settings
- 저장 위치: EEPROM
- 진입 방법: SPLIT 버튼 누른 상태로 전원 On
- 설정 방법:
- 인코더 버튼 → 카테고리 전환
- 인코더 회전 → 값 조절
- 설정 항목 (기본값):
- Part A default instrument: [0]
- Part B default instrument: [48]
- Part A channel: [1] (1~9, 11~16)
- Part B channel: [2] (1~9, 11~16)
- Alternative Part A channel: [14]
- Alternative Part B channel: [15]
- 인코더 대기 시간(초): [0.2] (0.1~1.0)
- MIDI file 정지 시 리와인드: [Y]
- MIDI file 연속 재생: [N]
- 곡 간 정지 시간(초): [5] (0~10)
- Dump settings to microSD card: [N]
- EXIT 버튼 → 초기 상태로 복귀
회로
아두이노 나노의 핀 연결
74HC595 시프트레지스터 IC를 쓰지 않는 조건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아두이노 나노의 모든 핀이 다 쓰이고 있다.
Arduino 핀 | 기능 | 설명 또는 역할 |
---|---|---|
D0 | MIDI IN (RX) | 키보드에서 MIDI 수신 |
D1 | MIDI OUT (TX) | GM 음원으로 MIDI 전송 |
D2 | Rotary Encoder CLK | 회전 신호 A (인터럽트 가능) |
D3 | Rotary Encoder DT | 회전 신호 B (인터럽트 가능) |
D4 | Encoder SW (버튼) | 로터리 인코더 버튼 입력 |
D5 | SPLIT 버튼 | 스플릿 기능 진입 |
D6 | STOP/EXIT 버튼 | 편집 모드/재생 종료 |
D7 | SAVE 버튼 | 현재 설정 저장 |
D8 | LOAD 버튼 | 저장된 프로그램 로드 |
D9 | MIDI Activity LED | MIDI IN/OUT 동작 표시용 |
D10 | microSD CS | SD 카드 선택 신호 |
D11 | microSD MOSI | SPI 데이터 출력 |
D12 | microSD MISO | SPI 데이터 입력 |
D13 | microSD SCK | SPI 클럭 |
A0 | Part A LED | Part A 활성 표시 |
A1 | Part B LED | Part B 활성 표시 |
A2 | Drums LED | Drums 모드 표시 |
A3 | PLAY/PAUSE 버튼 | MIDI 재생 제어 |
A4 | LCD SDA | I2C LCD 데이터 |
A5 | LCD SCL | I2C LCD 클럭 |
A6 | PART SELECT 버튼 | 파트 선택 |
- D0/D1 (RX/TX): MIDI IN/OUT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USB 시리얼 통신과 공유되므로, 업로드 후에는 Arduino가 리셋되거나 통신 충돌이 일어날 수 있음. 사용 시 신중히 처리 필요 (예: 업로드 후 MIDI 회로 자동 연결 또는 점퍼).
- SPI (D10–D13): microSD 카드에 적합하게 잘 배정됨.
- A4/A5: I²C LCD에 올바르게 사용됨.
- A6: 입력 전용 아날로그 핀이므로 버튼용으로 적절. 반드시 풀업 저항을 연결해야 함. 본 프로젝트에서는 10K 사용.
전원 연결 요령
- USB로 전원을 공급하면 Nano의 5V 핀으로 그대로 전달되는데, PC의 USB 포트 허용치(일반적으로 500mA) 이내로 제한된다.
- 이 상태에서 Vin에서 뜨는 약 4V의 전압은 역누설 때문에 생기는 '유령 전압'이라서 실제로 전류 공급이 불가하다.
- 외부 어댑터의 5V를 쓰려면 아두이노 나노의 5V 핀에 넣으면 된다. 단, 안정적인 5V여야 하며, USB와 동시 연결하면 전원이 충돌하거나 역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외부 5V 어댑터로 작동하는 경우 어댑터 커넥터 옆의 분배 스타노드에 메인 벌크(470-1000uF 전해)를 두면 전압 안정에 도움이 된다. 각 모듈 근처에는 로컬을 보강하기 위하여 4.7-47uF 전해 + 세라믹 100nF를 연결한다.
- Vin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레귤레이터를 거쳐 5V로 전환된다. 따라서 5V보다는 높아야 하며, 온보드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에 유의해야 한다.
- 일반 LED는 저항 포함 시 5~10mA로도 충분히 밝다. 단순 ON/OFF만 한다면 아두이노 나노 출력핀에서 저항을 직렬로 넣은 뒤 LED를 구동해도 좋다. 많은 예제에서 220Ω을 사용하는데, 실내에서 지시등 목적이라면 470 Ω~1 kΩ(2-4mA)로도 충분히 밝다.
- ATmega328P 권장 핀당 ≤ ~20 mA (절대최대 40 mA)
[5V 안정화 어댑터 or DC-DC Step-down] → (전원 분배) ├── Arduino Nano 5V 핀 ├── LCD 모듈 ├── microSD 모듈 └── LED, 센서 등
Decoupling capacitor (also reffered to as bypass capacitor)
https://rheingoldheavy.com/bypass-capacitors/
- 74HC595의 Vcc-GND에 리드를 최대한 짧게 하여 100nF 세라믹 커페시터 배치
- 전원 안정화 목적의 커패시터 배치 요령은 위에서 설명하였음
인코더 신호 처리
- 인코더 출력(CLK→D2, DT→D3)은 아두이노 나오의 디지털 입력핀에 직접 넣지 않고 74HC14 슈미트 트리거를 통과하여 넣었다. 남는 게이트의 입력핀은 Vcc로 묶는다.
MIDI IN & OUT schematics
opto-isolator는 PC900을 사용하였다. 아래 회로도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PC900의 6번핀(+5V)과 그라운드 사이에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연결해 놓았다. 스케치 업로드 시에는 RX/TX로 연결되는 회로를 끊어야 PC와 아두이노 나노 사이에 시리얼 통신이 원활하게 진행된다(점퍼 처리).
5핀 DIN MIDI 커넥터에서 실제 신호가 왕복하는 핀은 다음의 두 개이다. 2번 핀은 케이블 쉴드 접지용이고, 1과 3은 쓰지 않는다.
- Pin 4: MIDI Current Source (+5 V 쪽)
- Pin 5: MIDI Current Sink (Signal)
2025년 8월 26일 현재 MIDI in 회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허, 돌아버리겠다. 이미 DREAM SAM9703 도터보드 작동을 위해 만들어서 잘 작동함을 입증한 회로인데…(증거물) 8월 27일, 만능기판 뒤 패드 사이를 잘 긁어내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4번 핀에 달린 280Ω 저항은 너무 낮은 값이다?
일부 회로/쉴드(특히 6N138 다알링턴 출력용)에서 220–330 Ω을 쓰는 예가 있지만, PC900은 디지털(오픈콜렉터) 타입이라 그렇게 낮추면 싱크 전류가 과다해져서 동작이 불안정해지거나 스펙을 초과한다고 한다.
- 수신 옵토가 PC900V, 수신 전원 5V(=VRX), 규격에 충실한 MIDI IN 표준 회로일 때 RD=280Ω 권장. 에지를 빠르게 해 rise/fall을 2µs 이하로 맞추기 쉽다고 한다. 그러나 챗GPT는 이 저항이 너무 낮나고 한다.
- 280 Ω로도 “될 수는” 있지만, PC900류에겐 전류 여유가 거의 없음
- 1 kΩ 전후 + 74HC14 구성이 신뢰성과 수명, 호환성 면에서 가장 안전
- 74HC14를 쓰지 않는다면 2.2 kΩ ~ 4.7 kΩ → 전류도 적당, 파형도 충분히 빠름
- 만약 6N138이라면 220–330 Ω이 관행이지만, 그 경우도 전류/발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