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music_on_linux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music_on_linux [2023/09/08 13:07] hyjeongmusic_on_linux [2023/09/18 15:30] (current) – [Music on Linux 네임스페이스 내의 모든 문서] hyjeong
Line 1: Line 1:
 ====== Music on Linux ====== ====== Music on Linux ======
-우분투 22.04부터는 음악 작업을 하기가 훨씬 수월해졌고(내 블로그의 [[https://blog.genoglobe.com/2022/10/2204-qsynth-qjackctl-usb.html|관련 글]] 참조), DAW 역시 Tracktion의 [[https://www.tracktion.com/products/waveform-free|Waveform Free]]를 즐겨 쓰게 에 따라서 이 위키 문서를 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고민을 하게 되었다.  --- //2022/10/17 09:03//+우분투 22.04부터는 음악 작업을 하기가 훨씬 수월해졌고(내 블로그의 [[https://blog.genoglobe.com/2022/10/2204-qsynth-qjackctl-usb.html|관련 글]] 참조), DAW 역시 Tracktion의 [[https://www.tracktion.com/products/waveform-free|Waveform Free]]를 즐겨 쓰게 되었으며, 2023년에 접어들어서는 음악 작업 환경을 Windows로 옮기게 되면서 이 위키 문서를 속 업데이트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고민을 하게 되었다.  ---  // 2023/09/08 05:23//
  
 이곳은 리눅스(우분투 스튜디오 20.04 기준)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음악과 MIDI 작업을 하는 요령을 기록하기 위한 위키 페이지이다.  이곳은 리눅스(우분투 스튜디오 20.04 기준)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음악과 MIDI 작업을 하는 요령을 기록하기 위한 위키 페이지이다. 
-우분투 스튜디오의 좋은 점은 멀티미디어 작업에 필요한 많은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low latency kernel로 구동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분투 데스크탑을 설치한 다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해도 별로 불편한 점은 없다. 설치된 리눅스 배포판과 커널의 상세 정보는 다음 명령으로 확인해 보자.+우분투 스튜디오의 좋은 점은 멀티미디어 작업에 필요한 많은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low latency kernel로 구동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분투 스튜디오가 아닌 '데스크탑'을 설치한 다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해도 별로 불편한 점은 없다. 설치된 리눅스 배포판과 커널의 상세 정보는 다음 명령으로 확인해 보자.
  
   $ cat /etc/lsb-release    $ cat /etc/lsb-release 
Line 423: Line 423:
  
 {{pglist>music_on_linux}}   {{pglist>music_on_linux}}  
 +
 +===== 기타 문서 =====
 +[[multimedia_on_linux|Multimedia on Linux]]
music_on_linux.1694146058.txt.gz · Last modified: by hy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