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korg_x2:korg_x2_self-repair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korg_x2:korg_x2_self-repair [2025/05/26 20:54] hyjeongkorg_x2:korg_x2_self-repair [2025/06/06 12:34] (current) – [전원회로(KLM-1649)] hyjeong
Line 5: Line 5:
 이 위키 문서는 X2의 아날로그 출력 불량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나의 공식 블로그인 https://blog.genoglobe.com/에도 "[KORG X2 Self-Repair]"라는 제목을 단 글 시리즈가 존재한다. 이는 X2의 수리 전반에 대한 경험을 가볍게 에세이 형식으로 쓴 것이다. 매뉴얼 등 파일 자료는 상위 페이지인 [[:my_old_synths_and_midi|My old synths and MIDI]]에 있다. 이 위키 문서는 X2의 아날로그 출력 불량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나의 공식 블로그인 https://blog.genoglobe.com/에도 "[KORG X2 Self-Repair]"라는 제목을 단 글 시리즈가 존재한다. 이는 X2의 수리 전반에 대한 경험을 가볍게 에세이 형식으로 쓴 것이다. 매뉴얼 등 파일 자료는 상위 페이지인 [[:my_old_synths_and_midi|My old synths and MIDI]]에 있다.
  
-{{ :korg_x2:x2_system_version.jpg?400 |}}+{{ :korg_x2:x2_system_version.jpg |[7]+[ENTER]를 누른 상태로 전원을 켜면 이와 같이 시스템 버전을 표시한다.}} 
 + 
 +서비스 매뉴얼 7장 'Test mode'에 의하면 [5]+[ENTER]를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켰을 때 internal & external test를 수행하게 된다(사전에 준비할 것이 많으니 매뉴얼 참조). External test만 진행하려면 [8]+[ENTER]를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켠다. 첫 단계인 패널 스위치와 LCD 픽셀 테스트까지는 무사히 진행하였으나, FDD test는 실패하였다. 디스크 드라이브가 고장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 뒤로는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었다.
  
 [[https://audiopub.co.kr/|오디오퍼브]]의 user talks 게시판에도 도움을 요청하는 글 [[https://audiopub.co.kr/user-talks/?mod=document&uid=912|'Korg X2 잡음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합니다']]을 올려 두었다. 덧글을 통해 수리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https://audiopub.co.kr/|오디오퍼브]]의 user talks 게시판에도 도움을 요청하는 글 [[https://audiopub.co.kr/user-talks/?mod=document&uid=912|'Korg X2 잡음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합니다']]을 올려 두었다. 덧글을 통해 수리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Line 16: Line 18:
   * Mute 회로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다음은 X2 회로도에서 재구성한 mute drive 회로이다. F(+5V)와 G(-12V) 사이의 전압이 일정 수준까지 오르지 않으면 아날로그 신호가 흐르는 선을 그라운드로 떨구는 회로라고 생각된다.   * Mute 회로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다음은 X2 회로도에서 재구성한 mute drive 회로이다. F(+5V)와 G(-12V) 사이의 전압이 일정 수준까지 오르지 않으면 아날로그 신호가 흐르는 선을 그라운드로 떨구는 회로라고 생각된다.
  
-{{ :korg_x2:mute_drive_circuit.png?300 |}}+{{ :korg_x2:mute_drive_circuit.png?300 |커패시터 용량 등은 실제 보드에 존재하는 것과 다를 수 있음}}
  
 단순한 사용자가 이런 궁금증을 가질 필요는 없겠지만... 참고를 위해 X3와 N264(76건반)/N364(61건반)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실어 둔다. DAC부터 아날로그 출력 단자에 이르는 회로가 조금씩 다음을 염두에 두도록 하자. 출력 단자의 수에도 관심을 가질 것. X2는 Korg X-serise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으로 61건반이며, 아날로그 출력은 3/4번은 없다. 반면 N -series는 X-series보다 동시 발음 수가 2배(64개)로 높아진 후속 모델이라 볼 수 있으며, 아날로그 출력에 3/4번이 있다. 단순한 사용자가 이런 궁금증을 가질 필요는 없겠지만... 참고를 위해 X3와 N264(76건반)/N364(61건반)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실어 둔다. DAC부터 아날로그 출력 단자에 이르는 회로가 조금씩 다음을 염두에 두도록 하자. 출력 단자의 수에도 관심을 가질 것. X2는 Korg X-serise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으로 61건반이며, 아날로그 출력은 3/4번은 없다. 반면 N -series는 X-series보다 동시 발음 수가 2배(64개)로 높아진 후속 모델이라 볼 수 있으며, 아날로그 출력에 3/4번이 있다.
Line 43: Line 45:
 https://forum.vintagesynth.com/viewtopic.php?t=53799 https://forum.vintagesynth.com/viewtopic.php?t=53799
  
-전원회로를 완전히 개조한 뒤 노이즈 레벨을 '측정'해 보았다([[https://blog.genoglobe.com/2025/05/korg-x2.html|KORG X2의 잡음을 시각적으로 기록해 보다]] - //2025년 5월 11일//+
 ===== 용의자 찾기 ===== ===== 용의자 찾기 =====
 ==== 정녕 "recap"이 필요한가? ==== ==== 정녕 "recap"이 필요한가? ====
Line 74: Line 76:
 {{ :korg_x2:klm-1649_modified_20250409.png?400 |}} {{ :korg_x2:klm-1649_modified_20250409.png?400 |}}
  
-2025년 4월 12일, 전원장치를 전부 뜯어고쳤다. 이 작업 결과 강압트랜스포머를 쓰지 않고 220V로 작동할 수 있게 되었고, LCD 조명도 해결하였다. 그러나... 잡음은 별로 나아진 것 같지 않다. 아날로그 회로의 +/-12V의 약간의 불균형은 별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다. 앞으로 무엇을 개선해야 될지 모르겠다. 헤드폰 출력으로 느껴지는 잡음은 매우 크지만, output 1&2의 출력을 PA amp로 증폭하면 아주 쓰지 못할 수준은 아니다.+(2025-04-12전원장치를 전부 뜯어고쳤다. 이 작업 결과 강압트랜스포머를 쓰지 않고 220V로 작동할 수 있게 되었고, LCD 조명도 해결하였다. 그러나... 잡음은 별로 나아진 것 같지 않다. 아날로그 회로의 +/-12V의 약간의 불균형은 별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다. 앞으로 무엇을 개선해야 될지 모르겠다. 헤드폰 출력으로 느껴지는 잡음은 매우 크지만, output 1&2의 출력을 PA amp로 증폭하면 아주 쓰지 못할 수준은 아니다.
  
 {{ :korg_x2:power_supply_board.jpg?400 |}} {{ :korg_x2:power_supply_board.jpg?400 |}}
  
-전원부를 완전해 개조한 뒤 새로 생긴 문제가 있다. 전원을 ON/OFF할 때 약간의 팝업 노이즈가 발생한다.+ 
 +(2025-05-11) 전원회로를 완전히 개조한 뒤 노이즈 레벨을 '측정'해 보았다([[https://blog.genoglobe.com/2025/05/korg-x2.html|KORG X2의 잡음을 시각적으로 기록해 보다]]. 
 + 
 +전원부를 완전해 개조한 뒤 새로 생긴 문제가 있다. 전원을 ON/OFF할 때 약간의 팝업 노이즈가 발생한다.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을 기록하여 아래에 사진을 남겼다. X축이 1V/div인 것을 감안하면 해결이 필요한 것 같다. 전원 보드를 개조하면서 mute drive 회로와 궁합이 잘 맞지 않는 것 같다. 두 종류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들어오게 만들어 보자. 
 + 
 +{{ :korg_x2:pop_noise.png?400 |}} 
 + 
 +(2025-05-30) 전원을 올렸을 때 5V와 12V가 들어오는 순서를 점검해 보았다. 현재 개조된 전원장치 구성으로는 12V가 먼저 들어오고 나간다. 상세한 기록은 [[https://blog.genoglobe.com/2025/05/korg-x2_30.html|KORG X2의 팝업 노이즈 및 전원 공급 시퀀스의 기록]]에 남겨 두었다. 5V가 먼저 들어오도록 해야 팝업 노이즈가 사라질 것인가? 해 봐야 안다. 그리고 12V의 120Hz 리플이 매우 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2V의 대칭성도 별로 좋지 않다.  
 + 
 +{{ :korg_x2:12v_supply_ripple.jpg?400 |12V supply ripple}}
  
 === LCD 조명 문제 === === LCD 조명 문제 ===
Line 104: Line 115:
 {{:korg_x2:x2_schematic_diagram.png?300|}} {{:korg_x2:x2_schematic_diagram.pdf|X2 전체 회로도(PDF file)}} {{:korg_x2:x2_schematic_diagram.png?300|}} {{:korg_x2:x2_schematic_diagram.pdf|X2 전체 회로도(PDF file)}}
  
-그런데 위 회로도는 아무리 살펴봐도 X2의 것이 아니다. 실제 보드에 쓰인 부품과 다르고, output 3/4도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면 아래에 인쇄된 KLM-1956은 아무리 구글링을 해 봐도 도대체 KORG의 어느 신시사이저에 들어간 메인보드인지 알 수가 없다. 차라리 X3의 전체 회로도를 참고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서 이를 인용해 두었다.+그런데 위 회로도는 아무리 살펴봐도 X2의 것이 아니다. 실제 보드에 쓰인 부품과 다르고, output 3/4도 표시되어 있지 않다. Mute drive 및 mute 회로도 보이지 않는다. 도면 아래에 인쇄된 KLM-1956은 아무리 구글링을 해 봐도 도대체 KORG의 어느 신시사이저에 들어간 메인보드인지 알 수가 없다. 차라리 X3의 전체 회로도를 참고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서 이를 인용해 두었다.
  
 {{:korg_x2:x3_circuit_diagram.png?300|}}  {{ :korg_x2:x3_service_manual.pdf|X3 service manual(PDF file)}} {{:korg_x2:x3_circuit_diagram.png?300|}}  {{ :korg_x2:x3_service_manual.pdf|X3 service manual(PDF file)}}
korg_x2/korg_x2_self-repair.1748260441.txt.gz · Last modified: by hy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