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blog:midi와_오픈_사이언스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blog:midi와_오픈_사이언스 [2025/10/30 16:15] – [열린 기술, 닫힌 콘텐츠: 균형의 미학] hyjeongblog:midi와_오픈_사이언스 [2025/10/30 16:16] (current) hyjeong
Line 4: Line 4:
 이때 등장한 것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였다.   이때 등장한 것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였다.  
 단 5핀 케이블 하나로 서로 다른 악기들이 같은 언어로 대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단 5핀 케이블 하나로 서로 다른 악기들이 같은 언어로 대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기술의 단순함보다 놀라운 것은, 이 표준이 특정 기업이 아닌 **공동의 합의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기술의 단순함보다 놀라운 것은, 이 표준이 특정 기업이 아닌 **공동의 합의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바로 이 ‘개방형 표준(Open Standard)’의 정신이, 오늘날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 가 지향하는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바로 이 ‘개방형 표준(Open Standard)’의 정신이, 오늘날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 가 지향하는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Line 15: Line 14:
 MIDI의 명세와 통신 구조는 누구나 구현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지만,   MIDI의 명세와 통신 구조는 누구나 구현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지만,  
 그 위에 기록된 개별 연주 데이터 — 즉, MIDI 파일의 내용 — 은 **저작권의 보호 대상**이다.   그 위에 기록된 개별 연주 데이터 — 즉, MIDI 파일의 내용 — 은 **저작권의 보호 대상**이다.  
- 
 기술은 개방되어 있으되, 그 위의 창작물은 보호된다.   기술은 개방되어 있으되, 그 위의 창작물은 보호된다.  
 이는 오픈 사이언스가 추구하는 **‘개방과 책임의 균형’** 과 같은 철학이다.   이는 오픈 사이언스가 추구하는 **‘개방과 책임의 균형’** 과 같은 철학이다.  
- 
 데이터 포맷은 공개되어야 하지만, 개인의 민감정보는 보호되어야 하는 것처럼,   데이터 포맷은 공개되어야 하지만, 개인의 민감정보는 보호되어야 하는 것처럼,  
 MIDI 역시 **개방형 인프라와 사유 재산권이 조화를 이루는 모델**을 제시했다. MIDI 역시 **개방형 인프라와 사유 재산권이 조화를 이루는 모델**을 제시했다.
Line 29: Line 26:
 어느 악기에서나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는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악기에서나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는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과학에서 실험 프로토콜을 공개해 결과를 재현하는 원리와 같다.   이는 과학에서 실험 프로토콜을 공개해 결과를 재현하는 원리와 같다.  
- 
 연주자의 의도, 타이밍, 강약, 표현은 모두 데이터로 기록되어 다른 장치에서 재생 가능하다.   연주자의 의도, 타이밍, 강약, 표현은 모두 데이터로 기록되어 다른 장치에서 재생 가능하다.  
 이러한 **재현성과 투명성**은 음악 산업의 신뢰를 높였고,   이러한 **재현성과 투명성**은 음악 산업의 신뢰를 높였고,  
Line 40: Line 36:
 수많은 포맷이 흥망을 거듭한 디지털 시대에도 MIDI는 여전히 살아 있다.   수많은 포맷이 흥망을 거듭한 디지털 시대에도 MIDI는 여전히 살아 있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폐쇄된 포맷은 사라지지만, 개방형 표준은 진화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폐쇄된 포맷은 사라지지만, 개방형 표준은 진화하기 때문이다.**  
- 
 MIDI는 수많은 기업과 개인이 참여한 집단적 실험의 결과였으며,   MIDI는 수많은 기업과 개인이 참여한 집단적 실험의 결과였으며,  
 이를 통해 기술은 세대를 넘어 전승되었다.   이를 통해 기술은 세대를 넘어 전승되었다.  
Line 52: Line 47:
 개방형 기술은 혁신의 토양을 제공하고, 저작권은 그 위의 개별적 창의성을 보호한다.   개방형 기술은 혁신의 토양을 제공하고, 저작권은 그 위의 개별적 창의성을 보호한다.  
 이 둘이 조화를 이룰 때, 산업은 성장하고 지식은 축적된다.   이 둘이 조화를 이룰 때, 산업은 성장하고 지식은 축적된다.  
- 
 과학이 오픈 데이터와 지식재산권의 경계를 탐색하고 있다면,   과학이 오픈 데이터와 지식재산권의 경계를 탐색하고 있다면,  
 MIDI는 이미 그 균형의 모델을 음악을 통해 보여준 셈이다.   MIDI는 이미 그 균형의 모델을 음악을 통해 보여준 셈이다.  
- 
 MIDI는 단순한 기술 표준이 아니라, **‘열림과 보호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증거**이며,   MIDI는 단순한 기술 표준이 아니라, **‘열림과 보호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증거**이며,  
 **오픈 사이언스 시대의 철학적 전조**로 읽을 수 있다. **오픈 사이언스 시대의 철학적 전조**로 읽을 수 있다.
blog/midi와_오픈_사이언스.txt · Last modified: by hy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