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_administration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system_administration [2016/11/23 15:10] – [병렬 처리] hyjeong | system_administration [2024/02/23 15:02] (current) – [일반적인 방법] hyjeong | ||
|---|---|---|---|
| Line 2: | Line 2: | ||
| CentOS 6.x 기준의 리눅스 시스템 관리 팁을 정리한다. | CentOS 6.x 기준의 리눅스 시스템 관리 팁을 정리한다. | ||
| ===== 하드웨어 정보 ===== | ===== 하드웨어 정보 ===== | ||
| - | ==== CPU ==== | + | ==== CPU & core ==== |
| - | $ cat / | + | $ cat / |
| - | $ grep " | + | $ grep " |
| - | $ grep "cpu cores" / | + | $ grep "cpu cores" / |
| - | $ grep -c processor / | + | $ grep -c processor / |
| + | $ lscpu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CPU architecture | ||
| - | 맨 마지막 명령으로 출력되는 수치는 가상 코어 수이다. / | + | 맨 마지막 명령으로 출력되는 수치는 가상 코어 수이다. / |
| + | [[http:// | ||
| + | 가장 간단한 방법: nproc 명령을 실행한다. 'print the number of processing units available' | ||
| + | $ nproc | ||
| + | 32 | ||
| ==== 디스크 ==== | ==== 디스크 ==== | ||
| - | 파티션, 포맷, RAID 구성 등에는 [[https:// | + | 파티션, 포맷, RAID 구성 등에는 [[https:// |
| # lspci | grep RAID | # lspci | grep RAID | ||
| Line 27: | Line 32: | ||
| | | ||
| 파일 이름에 오늘 날짜를 yyyy-mm-dd로 넣고 싶으면 아카이브 명을 microbe-backup-`date +%Y-%m-%d`.tar.gz라고 지정하면 된다. | 파일 이름에 오늘 날짜를 yyyy-mm-dd로 넣고 싶으면 아카이브 명을 microbe-backup-`date +%Y-%m-%d`.tar.gz라고 지정하면 된다. | ||
| + | |||
| + | === 디렉토리만 골라서 tar를 실행하고 원본은 지우기 === | ||
| + | |||
| + | $ ls -d */ | while read f | ||
| + | > do | ||
| + | > tar -cf ${f}.tar --remove-files ${f} | ||
| + | > done | ||
| + | |||
| ==== tar over ssh ==== | ==== tar over ssh ==== | ||
| - |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면 tar 아카이브를 만드는 동시에 다른 서버로 ssh 전송을 하면 된다. 그렇게 하려면 별로 권장할만한 일은 아니지만 전송할 서버에 root로 원격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 | + |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면 tar 아카이브를 만드는 동시에 다른 서버로 ssh 전송을 하면 된다. 그렇게 하려면 별로 권장할만한 일은 아니지만 전송할 서버에 root로 원격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 |
| # tar cvpzf - --exclude=/ | # tar cvpzf - --exclude=/ | ||
| Line 35: | Line 48: | ||
| 좀 더 명확히 하고 싶다면 파이프(|) 기호 오른쪽에 cat 대신 dd of=/ | 좀 더 명확히 하고 싶다면 파이프(|) 기호 오른쪽에 cat 대신 dd of=/ | ||
| + | 또 다른 방법을 소개한다. local과 remote 간에 사용자 계정명은 같은 경우이다. | ||
| + | |||
| + | $ rsync -avz --delete --rsh=' | ||
| ==== rcp, scp, rsync (over ssh) ==== | ==== rcp, scp, rsync (over ssh) ==== | ||
system_administration.1479881454.txt.gz · Last modified: (external edit)
